

-
핵심과제1. 공학교육 강화와 대 사회 확산
- -공학의 특성을 반영한 학사 및 대학원 교육 시스템 개선
- -온/오프라인을 활용한 공학교육 확산 체제 정립
-
핵심과제2. 공학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교수평가제도 도입
- -다양한 교육, 연구, 산업발전 기여를 평가할 수 있는 체제 정립
- -평가결과의 환류 시스템 정비
-
핵심과제3. 국가적 차원의 공학기반 인력양성 사업 창출
- -산업발전에 대한 기여를 중시하는 공학기반 인력양성 사업 창출
- -산업계와 함께하는 인력양성 프로젝트 창출
-
핵심과제4. 국가적 차원의 공학기반 인력양성 사업 창출
- -공학의 특성을 반영한 학사 및 대학원 교육 시스템 개선
- -온/오프라인을 활용한 공학교육 확산 체제 정립

-
핵심과제5. 공기술자문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조직 마련
- -다양한 기술자문 활동을 발굴·지원하기 위한 조직 및 제도 형성
- -산업계 요구와 대학 역량 간의 매치매이킹 체계적 지원
-
핵심과제6. 공학기반 대형 융합연구과제 창출
- -학문경제를 가로지르는 대형 융합연구단의 선제적 육성
- -산업계 협력에 기반한 개방형, 융합형 혁신과제 지원육성
-
핵심과제7. 산학연 공동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사업 창출
- -대형 인프라형 실험시설 유치, 건설
- -학내외 자원을 망라한 연구장비 공동활용 체제 정비
-
핵심과제8. 공과대학의 대 사회 비전제시 기능 활성화
- -기술, 산업예측 및 전망 제시 역할 강화
- -국가적, 지구적 과제에 대한 공학의 역할 논의 선도

-
핵심과제9. 안전하고 행복한 공동체를 위한 복지제도 혁신
- -사고예방 및 사후 지원 서비스 혁신
- -구성원 복지제도의 양적 확대 및 필요에 기반한 자원 재배분
-
핵심과제10. 공학기반 대형 융합연구과제 창출
- -동문 기부사업 활성화 및 기부자 예우 프로그램 강화
- -교육연구활동의 필요에 부응하는 목적성 기부 활성화
-
핵심과제11. 다문화 캠퍼스체제 기반 조성
- -외국인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체제 강화
- -내외국인 융합 프로그램 확대
-
핵심과제12. 멀티채널 소통시스템 구축
- -대학내 구성원간의 비전, 고충의 공유 및 토론 채널 활성화
- -학내, 사회, 글로벌 소통 전략 및 통합적 소통 강화